충남 서산에서 올라온 45년 차 황혼 커플,
이른바 오은영 결혼지옥 귓등부부가
스튜디오 문을 열자마자 공기를 얼어붙게 만들었다.

귓등부부 남편은 “같이 있으면 숨이 막혀 죽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 말 뒤엔 45년 동안 쌓인 상처의 연대기가 있었다.
오은영 결혼지옥 귓등부부의 일상은 이미 엇박자였다.

아내는 새벽 다섯 시 밭으로 향하고,
남편은 점심 술자리로 하루를 연다.
싸움 뒤엔 며칠씩 잠적과 연락 두절, 전화 차단이 뒤따랐다.

관찰 카메라가 담은 장면의 정점은 만취 후 폭언이었다.
“까불지 마, 불 질러버릴 거야.”
오은영 박사는 억눌린 감정이 술과 만나
통제력을 잃는 전형으로 봤다.

이 회로가 유지되는 한 오은영 결혼지옥 귓등부부의
대화는 매번 원점으로 되돌아간다.
결혼지옥 귓등부부 첫 번째 해법은 절주와 감정 조절이다.
술을 줄이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분노가 올라올 때 몸의 신호를 인식하고 멈추는 훈련이 동반돼야 한다.


돈은 또 다른 지뢰였다.
연 4천만 원 안팎의 수입에서 아내는
“내 몫 1천만 원”을, 남편은 “늦게나마 즐기자”를 말한다.
숫자가 아니라 상징의 다름이 문제의 본질이다.
아내에게 돈은 존중과 안전, 남편에게 돈은 자유와 위로다.
두 상징이 평행선을 달리면
오은영 결혼지옥 귓등부부는 매달 같은 싸움을 반복한다.

결혼지옥 귓등부부 두 번째 해법은 ‘의미’ 합의다.
같은 금액이라도 배정 이유를 합의하면 갈등 강도가 뚝 떨어진다.
앞마당 나무는 상징 갈등의 집약판이다.
남편은 “내 마음 같은 나무를 베었다”고 느끼고,
아내는 “손만 가고 민폐라 잘랐다”고 말한다.
사실의 옳고 그름이 아니라 느낌의 권리가 핵심이다.

“그랬구나”로 시작하는 공감부터 다시 배우면,
오은영 결혼지옥 귓등부부의 말문이 열린다.
결혼지옥 귓등부부 세 번째 해법은 공감 문장 루틴이다.
하루 한 번, “오늘 당신이 힘들었던 지점이 뭐였는지”만
묻고 듣는 10분 대화를 고정한다.

이번 회차에서 인상적인 건 아내에게 ‘쉼’이 제안됐다는 사실이다.
평생 일하며 자신을 소모한 시간 뒤엔 회복이 필요하다.
남편에게는 감정 조절과 절주가,
두 사람에게는 함께할 과업이 권유됐다.

공동의 루틴이 있어야 같이 앉을 이유가 생기고,
같이 앉아야 대화가 가능하다.
이 과정이 안착되면 오은영 결혼지옥 귓등부부도 ‘결혼 천국’의 초입에 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