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오늘은 자취·독립을 준비하는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청년 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고물가·고금리 시대, 갑자기 오른 전세 보증금에 속상하셨던 분들 많죠?
전세 보증금이 턱없이 부족해 월세로 밀려나거나 부모님 집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면,
이제는 정부의 청년 주거 지원제도를 꼭 이용해보세요!
🎯 청년 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이란?
국토교통부와 주택도시기금에서 운영하는
청년 대상의 전세자금 저금리 대출 지원 제도예요.
전세 보증금이 부족한 사회 초년생, 독립 예정자, 자취 청년들에게
최대 2억 원까지 낮은 금리로 전세금을 빌려주는 정책입니다.
✔ 월세 No! 내 집 같은 전셋집에서 안정적으로 거주 가능
✔ 고금리 대출 대신 정부지원 저금리 대출로 부담 뚝!
✅ 지원 대상은 누구인가요?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신청 가능해요!
- 만 19세 이상 ~ 34세 이하 청년
- 무주택자이면서 (예비)세대주
- 부부합산 연소득 5,000만 원 이하
- 순자산가액 3억 3,700만 원 이하
💡 예비 세대주란?
전세계약 예정이 있는 경우 세대주가 아니어도 신청 가능!
💰 얼마나 빌릴 수 있나요?
- 최대 2억 원까지 가능!
- 단, 전세 보증금의 80% 이내 한도
예시) 전세 보증금이 1억 5천만 원이라면 → 최대 1억 2천만 원까지 대출 가능
💸 대출 금리는 얼마나 되나요?
대출 금리는 연 2.0% ~ 3.1% 수준으로,
은행별·소득수준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어요.
📌 일반 시중은행 전세자금 대출보다 훨씬 낮은 편!
📌 거치 기간도 설정 가능 (이자만 내는 기간)
🏠 어떤 집에 적용되나요?
대출받으려면 대상 주택 요건도 충족해야 해요.
수도권 | 전용면적 85㎡ 이하 + 보증금 3억 원 이하 |
비수도권 | 전용면적 100㎡ 이하 + 보증금 2억 원 이하 |
✔ 주택, 연립, 오피스텔 가능 (단, 등기부등본상 ‘주택’으로 등록된 곳만!)
📋 신청 방법은?
신청은 아래 2단계 절차로 진행됩니다.
1️⃣ 온라인 신청
👉 기금e든든 누리집 접속 →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메뉴
👉 간단한 개인정보 입력 후 사전 심사 접수
🔗 기금e든든 바로가기
2️⃣ 은행 방문
온라인 접수 후, 선택한 취급은행 (우리·신한·국민 등) 지점 방문
→ 서류 제출 + 본심사 진행
→ 승인 후 전세계약에 맞춰 자금 지급
🗂️ 준비해야 할 서류는?
- 본인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 소득 관련 증빙 서류 (근로소득원천징수, 소득금액증명 등)
- 무주택 확인서
- 전세계약서 (계약 예정 시 가계약서도 가능)
- 대상 주택의 등기부등본 등
📌 신청 전 필수 서류 리스트는 기금e든든 누리집에서 확인!
⏱️ 대출 기간은 얼마나?
- 기본 2년 계약
- 4회 연장 가능 → 최장 10년 사용 가능!
💡 거치 기간 설정도 가능해요!
(처음 2년 동안 이자만 내고 이후 원리금 상환)
요즘처럼 전셋값 오르고, 청년 소득은 제자리인 시대엔
정부의 청년 주거 정책을 ‘똑똑하게’ 활용하는 것이 진짜 자립의 시작이에요.
"이런 혜택도 있었어?"
네! 조건만 된다면 누구든 신청 가능합니다 💪
혼자 알아보기 어려우셨다면 이 글로 정리 끝!
나에게 맞는 주거 지원 제도,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