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건강한 식단이 혈당 조절의 시작이라는 거, 알고 계시죠?
초기 당뇨 진단을 받았거나 공복혈당장애(전당뇨) 단계에
있는 분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무기는 ‘식단 조절’이에요.
하지만 너무 제한적인 식단은 오히려 스트레스를 유발해서 장기적인 관리가 어렵죠.
그래서 오늘은 실생활에서 따라 하기 좋은 7일 식단표를 공유드릴게요.
가족과 함께 먹어도 손색없는 균형 잡힌 식단이라 더 좋아요!
1. 당뇨 초기 식단의 핵심 원칙 5가지
- 저GI(혈당지수 낮은) 식품 선택
- 복합탄수화물 위주 섭취 (현미, 귀리 등)
- 단백질 + 채소와 함께 먹기 (혈당 급상승 방지)
- 가공식품, 설탕, 트랜스지방 피하기
- 하루 3끼 + 간식 1~2회, 일정한 시간 유지
2. 식사 시 꼭 기억할 포인트!
- **밥 양은 평소의 70~80%**로 줄이고, 단백질·채소를 늘리기
- 식사 순서: 채소 → 단백질 → 탄수화물
- 천천히 20분 이상 씹으며 먹기
- 무조건 굶기보단, 규칙적으로 먹는 게 더 중요!
3. 하루 권장 칼로리 참고
- 성인 남성 기준: 2,000~2,200 kcal
- 성인 여성 기준: 1,600~1,800 kcal
👉 아래 식단은 하루 평균 1,700~1,800kcal 기준으로 구성했어요.
성별이나 활동량에 따라 양 조절은 필요합니다.
4. 초기 당뇨에 좋은 7일 식단표
🌞 월요일
- 아침: 현미밥 1/2공기 + 삶은 달걀 1개 + 오이무침 + 두유(무가당) 1컵
- 점심: 귀리밥 + 닭가슴살 샐러드 + 된장국 + 김구이
- 저녁: 잡곡밥 + 가지나물 + 두부조림 + 미역국
- 간식: 블루베리 한 줌 또는 삶은 고구마 반 개
🌞 화요일
- 아침: 통밀 토스트 1장 + 삶은 계란 + 토마토 반 개 + 요거트(무가당)
- 점심: 보리밥 + 연어구이 + 콩나물무침 + 배추된장국
- 저녁: 현미밥 + 애호박볶음 + 계란찜 + 김치 조금
- 간식: 무염 견과류 10~15g
🌞 수요일
- 아침: 고구마 1개 + 두유 + 삶은 브로콜리
- 점심: 현미밥 + 버섯불고기 + 시금치나물 + 다시마국
- 저녁: 통밀 파스타(토마토소스) + 양상추 샐러드
- 간식: 삶은 달걀 1개 or 오이 스틱
🌞 목요일
- 아침: 귀리죽 + 김자반 조금 + 삶은 달걀
- 점심: 현미밥 + 돼지고기 안심구이 + 나박김치 + 된장국
- 저녁: 채소쌈밥 + 닭가슴살구이 + 두부된장찌개
- 간식: 사과 1/2개 or 방울토마토
🌞 금요일
- 아침: 통밀빵 + 스크램블에그 + 양상추 + 무가당 요거트
- 점심: 보리밥 + 코다리조림 + 고사리나물 + 무된장국
- 저녁: 현미밥 + 미역줄기볶음 + 두부전 + 쌈채소
- 간식: 삶은 옥수수 1/2개
🌞 토요일
- 아침: 귀리밥 + 브로콜리 + 달걀말이 + 우엉차
- 점심: 현미밥 + 닭다리살 바비큐(기름 없이) + 부추겉절이
- 저녁: 야채 비빔밥 + 된장국 + 오이생채
- 간식: 무설탕 곤약젤리 or 두유
🌞 일요일
- 아침: 고구마 1개 + 두부구이 + 삶은 시금치 + 사과 슬라이스
- 점심: 잡곡밥 + 고등어구이 + 나물 2가지 + 된장찌개
- 저녁: 현미밥 + 애호박전 + 상추쌈 + 오이미역냉국
- 간식: 요거트 + 블루베리 or 무염 아몬드 5~6알
5. 추천 간식 & 피해야 할 식재료
✅ 간식으로 좋은 것들
- 삶은 달걀
- 무가당 두유
- 견과류 (하루 한 줌 이하)
- 삶은 고구마, 옥수수
- 블루베리, 사과, 자몽
- 오이, 방울토마토, 당근스틱
- 무설탕 요거트, 곤약젤리
❌ 피해야 할 식재료
- 흰쌀밥, 흰밀가루
- 설탕, 시럽, 조청
- 탄산음료, 과일주스
- 튀긴 음식, 가공육 (햄, 소시지)
- 마요네즈, 크림소스
- 과일 중 과당 많은 것 (바나나, 포도, 감)
식단은 단순히 '혈당 낮추기'를 넘어서,
당뇨의 진행을 막고 회복을 도와주는 가장 중요한 습관이에요.
오늘 소개한 식단은 모두 실제로 병원과 영양사가
권장하는 스타일을 기반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부담 없이 실천하셔도 좋아요.
💡 중요한 팁
- 처음부터 완벽하게 하려 하지 말고, 한 끼씩 바꾸는 것부터 시작하세요
- 물은 하루 1.5~2L 충분히 드세요
- 너무 금기만 생각하지 말고, 대체 가능한 식품을 활용하는 게 더 지속 가능해요
반응형